앱 실행하고 바꾸어보기
에뮬레이터는 가상의 단말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.
테스트할 때 실제 단말기가 없다면 이 에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죠.
에뮬레이터를 하나 만들어서 실행하면 여러분이 만든 앱을 에뮬레이터에서 실행하여 띄우고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.
에뮬레이터를 만들어 띄운 후 여러분의 앱을 실행해봅니다.
앱을 실행할 때는 상단에 보이는 아이콘 중에서 초록색 실행 아이콘(shift+f10)만 누르면 됩니다.
여러분이 한 것은 이름을 하나 입력하고 프로젝트라는 것을 만들어달라고 한 것뿐인데 실행해보니 앱이 만들어져 있네요.
심지어는 이 앱의 내용을 아주 간단하게 바꿀 수도 있습니다.
단말기 모양의 화면 안에 보이는 Hello world! 라는 글자를 선택한 후 오른쪽에 보이는 속성(Attributes) 창에서 그 글자가 표시된 부분을 찾아 ‘안녕 안드로이드!’라는 글자로 바꾸어봅니다.
그리고 다시 실행하면 한글로 바뀐 글자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새로 만들어진 프로젝트
새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라는 것 안에는 여러 개의 파일이 자동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.
화면의 왼쪽에서 그 파일들을 볼 수 있는데요, java 라는 이름의 폴더와 res 라는 이름의 폴더가 대표적입니다.
그 폴더 안을 살펴보다 보면 가운데 영역에 탭으로 보이는 MainActivity.java 파일과 activity_main.xml 파일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.
자동으로 만들어진 파일 중에 두 가지 파일이 중요하니 미리 가운데 영역에 탭으로 띄워주었던 것이군요.
XML파일은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이고, java파일은 화면 뒤에서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역할을 설정해 주는 듯 합니다.
XML파일은 프론트엔드, java파일은 백엔드 라고 생각하면 될듯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