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라우팅

라우터는 IP헤더에 있는 목적지 IP주소를 읽어서 경로를 결정하는 작업이다.



정적 경로

-경로를 결정할때 사전에 고정

-비교적 환경변화가 적은 형태의 네트워크에 적합


동적 경로

-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해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

-수시로 환경이 변화되는 형태의 네트워크에 적합


라우팅 프로토콜

-I라우터 간에 라우팅 정보의 교환 및 라우팅테이블의 유지관리를 동적으로 수행하는 프로토콜

-IGP,EGP로 분류됨


IGP(Internal Gateway routing Protocol)

-한 도메인 내에서 경로를 결정

-동일한 그룹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

-RIP,IGRP,OSPF,EIGRP


EGP(Ex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

-도메인 간에 경로를 결정

-다른 그룹과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

-BGP,EGP





라우팅 프로토콜 분류


Distance Vector

-라우터의 수(홉카운터 또는 TTL)가 적은 쪽으로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

-최단 경로를 구하는 벨만 포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.

-RIP,IGRP,EIGRP,BGP의 프로토콜이 존재

-일정주기마다 라우팅 테이블 정보 갱신

-변화되는 라우팅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 주기적으로 갱신하므로 망 자체의 트래픽을 유발

-라우팅 정보를 변경하는 문제 발생시 Routing Loop가 발생할 가능성 있음



Link State

-네트워크 대역폭,지연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Cost를 산정하고 해당 Link의 Cost에 따라 경로를

 결정하는 방법

-최소 신장 트리를 구하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기반

-대표적으로 OSPF(대규모),IS-IS(소규모)

-변화가 발생 시 라우팅 테이블 정보 갱신

-네트워크 전체 정보 유지를 위한 많은 메모리 소요

-라우터의 CPU사용량이 많아짐

-라우터간 회선의 대역차이로 동기화 실패할 가능성이 있음




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
-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

-라우터 간의 거리 계산을 위한 척도로 홉수(Hop count)사용

-16Hop이상이면 폐기

-180초 이내에 새로운 라우팅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경로를 이상 상태로 간주

-수신된 목적지의 거리 값과 현재 거리 값을 비교하여 작은 것을 기준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변경

-라우팅 정보 변경시 모든 망에 적용하므로 큰 규모의 망에는 적합하지 않음


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

-대규모 IP망에서 사용되는 Link State Routing Protocol

-링크에서의 전송 시간을 링크 비용으로 사용하여 각 목적지별 최단경로를 구함

-네트워크의 변화가 발생했을 때 상대적으로 짧고 간단한 링크 상태 정보를 교환



BGP(Border Gate Protocol)

-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

-AS 상호간의 routing에 적용되는 프로토콜

-도메인간의 대규모망에 적용








아래의 라우팅 기법에 대한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?


1.OSPF - Link State 프로토콜


2.BGP - 거리 벡터 프로토콜


3.EIGRP - Link State 프로토콜


4.RIP - Hop Counter에 영향을 받음








정답 3번


반응형

'보안 >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AP 계층구조  (0) 2020.03.09
방화벽  (0) 2020.03.09
로그 파일들  (0) 2020.03.08
해시함수  (0) 2020.03.06
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  (0) 2020.03.06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