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RSA

공개키 암호시스템


RSA암호체계의 안정성은 큰 숫자를 소인수분해하는 것이 어렵다는것에 기반을 두고있다.

양자컴퓨터가 실용화 된다면 RSA 알고리즘은 무용지물이 된다고한다.



RSA 방식으로 암호화를 하기 위해선 먼저 키를 만들어야 한다.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.

  1. 두 소수 p , q 를 준비한다.
  2. p - 1,\ q - 1과 각각 서로소인 정수 e를 준비한다.
  3. ed를 (p - 1)(q - 1)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도록 하는 d를 찾는다.
  4. N = pq를 계산한 후, N와 e를 공개한다. 이들이 바로 공개키이다. 한편 d는 숨겨두는데, 이 수가 바로 개인키이다.
  5. 이제 p, q, (p-1)(q-1)는 필요 없거니와 있어 봐야 보안에 오히려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니, 파기한다.




이제 RSA방식으로 암호화를 하는 과정이다.
1.보내려는 평서문 a를 x ≡ a^e(mod N)으로 암호화한다. (여기서 a < N이어야 한다.)
2.받은 암호문 x를 a' ≡ x^d (mod N)으로 복호화한다.



A를 이용한 비밀키 분배 방식의 안정성의 근거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?


1.타원곡선


2.이산대수


3.소인수분해


4.난수 기반






정답 3번



반응형

'보안 >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유닉스 파일 시스템의 구성  (0) 2020.03.05
블록 암호화  (0) 2020.03.04
FTP  (0) 2020.03.04
IPSEC  (0) 2020.03.04
라우터 스위칭 방식  (0) 2020.03.04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