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즈베리파이OS 라즈비안 설치 및 ssh #1
설치
순서
sd카드 포맷->라즈비안 다운->imager 다운->imager를 이용해 부팅가능한 디스크로 만들어주기
sd카드를 연결해준뒤 FAT32 또는 exFAT으로 포맷하여줍니다.
(용량에 따라 64gb이상일 경우 exFAT으로 포맷 ntfs는 윈도우파일시스템이다.)
라즈비안 설치
https://www.raspberrypi.org/software/operating-systems/
에서 원하는 os 다운로드
저는 Raspberry Pi OS with desktop and recommended software를 다운받았습니다.
다운받은후 압축을 풀어줍니다.
imager 설치
https://www.raspberrypi.org/software/
1 2 3 4 5 6 | ctrl_interface=DIR=/var/run/wpa_supplicant GROUP=netdev update_config=1 network={ ssid="접속할 WIFI 이름" psk="접속할 WIFI 암호" } | cs |
위와 같이 boot 드라이버에 생성해주면 됩니다.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zetezz&logNo=221224911338&proxyReferer=https:%2F%2Fwww.google.com%2F
다른공유기
https://m.blog.naver.com/seoulworkshop/221265052717
모니터가 있는경우
와이파이설정
국가를 us로 설정하여야만 제대로 잡힌다.
좌측상단 라즈베리파이 모양 클릭->Preferences->Raspberry Pi Configuration->Localisation->Set WiFi Country->US로 바꾸어준다
라즈베리파이 상태확인
라즈베리파이의 보드버전이나 램을 확인해 봅니다.
-보드버전확인
cat /proc/device-tree/model
-메모리 확인
cat /proc/meminfo
-라즈베리파이 cpu온도체크
sudo cat /sys/class/thermal/thermal_zone0/temp
결과값을 1000 나눠주면 섭씨온도이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