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사람과 사람이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서도 몇 가지 규약이 필요합니다.
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말(같은 언어)을 사용해야 하며, 한쪽이 말할 때 다른 쪽에서는 들어야 합니다.
또한, 전화 연결이 끊어지면 더 대화를 할 수가 없습니다.
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도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규약이 필요합니다.
이때 필요한 규약이 HTTP 입니다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란?
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사엥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
HTTP 작동방식
- 장점
-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는 적합하다.
-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계속 연결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최대 연결 수보다 훨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.
- 단점
-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,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황을 알 수가 없다.
- 이러한 특징을 무상태(Stateless)라고 말한다.
- 이러한 특징 때문에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Cookie와 같은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.
쿠키(cookie)란?
하이퍼 텍스트의 기록서(HTTP)의 일종으로서 인터넷 사용자가 어떠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를통해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패킷
첫번째 줄의 요청메소드는 서버에게 요청의 종류를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됩니다.
반응형
'웹개발 > 부스트코스(웹프로그래밍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AS(Web Application Server) (0) | 2018.12.13 |
---|---|
웹서버 (0) | 2018.12.13 |
개발자도구를 통해 HTML구조 및 패킷확인 (0) | 2018.12.13 |
Browser (0) | 2018.12.12 |
벡엔드와 프론트엔드 (0) | 2018.12.12 |
최근댓글